전체 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영역 바로가기 footer 영역 바로가기

LG CNS
SOLUTION
BIZ UNIT

Monachain

Monachain은 고객이 필요로 하는 블록체인 비즈니스를 최적으로 지원하는
허가형 블록체인 플랫폼입니다.

하이퍼레저 패브릭(Hyperledger Fabric) 기반으로 한 ‘Hyperledger Fabric
Certified Service Provider’로 국내 최초로 기술 자격을 인정받았으며,
모나체인 솔루션으로 GS인증을 획득했습니다.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해 많은 레퍼런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Event

  • “이거 어디서 온 거지?” 히스토리 관리를 쉽고 투명하게!

    Track & Traceability

    블록체인 기술은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되며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점차 투자자산으로 인정받고 있는 코인 외에도 NFT 열풍, 한국은행의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 시험 발행, 정부 주도로 진행 중인 모바일 신분증(DID, Decentralized Identity, 탈중앙 신원증명), 2023년 새로운 관심사로 등극한 토큰 증권(STO, Security Token Offering) 등이 그 예입니다.
    블록체인의 가치는 탈중앙화의 투명성과 위조가 불가능한 신뢰성에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블록체인 고유의 기술과 가치로 고객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Track & Traceability’ 영역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디지털 자산, 아는 만큼 보호한다!

    ‘Web3 지갑’의 모든 것

    Web3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데이터 소유를 개인화하는 3세대 인터넷 환경을 의미합니다. 최근 Web3는 이더리움을 비롯한 다양한 블록체인 프로토콜과 메인넷의 등장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데요. 이에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서 구동되는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 탈중앙화된 블록체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작동하는 앱) 사용자들의 디지털 자산을 안전하게...

  • 공정한 Web3 생태계를 꿈꾼다! ‘탈중앙화 저장소’

    Web3, 블록체인과 탈중앙화가 바꾸어 나갈 미래

    2021년 6월, 홍콩의 반(反)중국 성향의 신문사인 빈과일보가 폐간한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홍콩보안법”을 앞세운 중국의 압박을 이기지 못하고, 결국 26년의 역사를 뒤로한 채 폐간을 결정한 것이죠. 홍콩 시민들은 빈과일보의 과거 기사들을 보존하기 위해 한 가지 묘안을 냈습니다. 바로 탈중앙화 데이터 저장소인 ‘Arweave(알위브)’에 기사를 옮기는 것이었습니다. 탈중앙화 저장소는 어떻게...

  • 복잡한 NFT 시스템 구축?

    ‘모나체인 TaaS(Token as a Service)’로 해결!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 토큰),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메타버스까지- 블록체인 기술 기반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날로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 기업들이 블록체인 서비스를 직접 구축하기에는 안정성, 성능, 가상자산 변동성 이슈, 기술 인력 확보 등 많은 어려움이 존재...

  • 개인정보 제출 없이 신원증명을? DID 서비스 ‘띠딧’으로 가능!

    아직도 플라스틱 사원증 사용하시나요?

    인터넷으로부터 일방적인 정보를 얻었던 ‘웹 1.0 (Web 1.0)’, 개인 사용자도 콘텐츠를 생산하는 ‘웹 2.0 (Web 2.0)’을 거쳐 ‘웹 3.0 (Web 3.0)’으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웹 3.0의 핵심은 개인의 데이터 주권을 보장하는 ‘탈중앙화(decentralization)’라고 할 수 있는데요. 하지만 개인의 신분을 확인하기 위한 신분증은 여전히 플라스틱으로 된 실물 카드를...

  • 블록체인 새 먹거리 ‘토큰증권’ 똑똑하게 대응하려면?

    토큰 증권, 대체 뭐길래?

    최근 금융위원회는 ‘디지털 자산 인프라 및 규율체계 구축’ 국정과제를 반영한 ‘토큰 증권 발행 · 유통 규율체계 정비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이 발표에서 부동산 등 실물 자산을 기반으로 발행한 ‘디지털 자산’을 증권의 일종인 ‘토큰 증권(ST · Security Token)’으로 정의하고, 제도권 편입을 시사했는데요. 이에 따라 토큰 증권이 향후 새로운 투자 먹거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웹 3.0 시대, 성공하기 위한 3가지 방법

    웹 3.0 속 기회의 창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빅테크 플랫폼 기술에 투명성과 공정성이라는 철학을 더한 웹 3.0가 미래를 이끌 혁신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디지털 트랜스 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DX) 전략의 핵심 기술로 웹 3.0이 부각되고 있는데요. 웹 3.0 생태계의 중심 기술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기업이 준비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 NEW JOURNEY FOR WEB3

    Web3를 향한 여정, LG CNS와 함께 하세요!

    최근 Web3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부각되면서 Web3로의 변화는 이미 시작되었습니다.
    기업들이 추구하는 Web3 기술과 비즈니스 지향점은 다양합니다.
    Web3 생태계의 리더 LG CNS가 제안하는 Web3로 가는 가장 빠른 방법을 확인해보세요!

References

LG CNS의 Monachain을 이용하는
고객들을 살펴보세요

  • 모바일 운전면허증 시스템 구축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운전면허증 시스템 구축

  • 우리은행 블록체인 도입 및 CBDC 시스템 구축

    블록체인 플랫폼 도입 및 CBDC 시스템 구축

  • 모바일 공무원증 구축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공무원증 구축

  • 신한은행 CBDC POC 구축

    블록체인 기반의 CBDC 시스템 POC

  • 분실 파손 보험 청구 자동화 구축

    블록체인 기반의 분실 파손보험 청구 자동화 시스템 구축

  • 배터리 라이프 사이클 시스템 구축

    블록체인 기반의 배터리 라이프 사이클 관리 시스템 구축

  • 지역화폐 시스템 구축

    블록체인 기반의 지역화폐 시스템 구축

  • 지역화폐 시스템 구축

    블록체인 기반의 지역화폐 시스템 구축

News

News

2021. 07. 01

CloudXper ProOps Launching Webinar

복잡성 높을 수록 모니터링 중요성도 커져

APM의 등장 배경을 보면 예나 지금이나 도전 과제가 비슷하다. 쓰리 티어(3 Tier) 구조의 웹 기반 컴퓨팅이 자리를 잡았을 때를 떠올려 보자. 눈에 보이던 것들이 보이지 않게 되면서 복잡성이 커졌다. 계층화된 컴퓨팅 환경에서 일관성 있게 성능을 보장하려면 가시성을 확보해야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APM이었다.
지금은 어떠한가? 모놀리식 구조의 스택이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환경으로 바뀌면서 기능은 더 작은 단위로 쪼개졌고, 인프라와 플랫폼의 추상화 수준은 더욱 높아졌다. 마이크로서비스 환경 구축 시 현장에서 복잡성과 가시성 문제를 호소하는 이유다. 이 문제 역시 해결책은 APM에서 찾을 수 있다.

동적 환경 모니터링까지 소화하는 APM


LG CNS의 APM 솔루션인 TunA와 같은 현대화된 APM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환경에 대한 모니터링까지 기술적, 기능적으로 고려한다. 컨테이너 플랫폼에 배포, 운영하는 애플리케이션은 동적인 이동하기도 한다. 쉽게 말해 애플리케이션의 유동성이 크다. 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한 덩어리로 구성된 모놀리식 아키텍처와 달리 구성 요소가 매우 작은 단위로 세분화되어 있다. 그리고 단위 기능이나 서비스를 담은 컨테이너는 여러 위치에 분산되어 있다. LG CNS의 APM 솔루션인 TunA와 같은 현대화된 APM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환경에 대한 모니터링까지 기술적, 기능적으로 고려한다. 컨테이너 플랫폼에 배포, 운영하는 애플리케이션은 동적인 이동하기도 한다. 쉽게 말해 애플리케이션의 유동성이 크다. 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한 덩어리로 구성된 모놀리식 아키텍처와 달리 구성 요소가 매우 작은 단위로 세분화되어 있다. 지금은 어떠한가? 모놀리식 구조의 스택이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환경으로 바뀌면서 기능은 더 작은 단위로 쪼개졌고, 인프라와 플랫폼의 추상화 수준은 더욱 높아졌다. 마이크로서비스 환경 구축 시 현장에서 복잡성과 가시성 문제를 호소하는 이유다. 이 문제 역시 해결책은 APM에서 찾을 수 있다.

LENA 1.3.1 fix#4

2021. 07. 01

변경항목

다음 항목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 Web Server
  • Web Application Server
  • Session Server
  • Node Agent
  • Management
  • Container

상세내용

[Web Server]

  • (LENA-7219) CVE-2022-22719 초기화하지 않은 변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취약점 해결
  • (LENA-7219) CVE-2022-22720 HTTP request 요청 과정 중 발생하는 취약점 해결
  • (LENA-7219) CVE-2022-22721 버퍼오버플로우 취약점 해결
  • (LENA-7219) CVE-2022-23943 Out-of-Bounds 읽기/쓰기 취약점 해결
  • (LENA-7075) ubuntu 20.x 버전 지원
  • (LENA-7182) oracle linux 8.x 버전 지원
  • (LENA-6623) timezone에 따른 logrotate 적용
  • (LENA-6687) mod_proxy DNS Lookup 처리 개선

이메일 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22년 11월 0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