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영역 바로가기 footer 영역 바로가기

LG CNS
SOLUTION
BIZ UNIT

Monachain

하이퍼레저 패브릭(Hyperledger Fabric)을 기반으로 고객이 필요한 블록체인
비즈니스의 최적 지원을 지향하는 허가형(Permissioned) 블록체인 플랫폼입니다.

“Hyperledger Fabric Certified Service Provider”로서 국내 최초
기술 자격 인정 받았고, 모나체인 솔루션으로 GS인증 획득하였습니다.

다양한 산업영역에서 블록체인기반의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하여
많은 레퍼런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비디오 섬네일

    블록체인 기반 비즈니스, 어떻게 하면 좋을까?

  • 비디오 섬네일

    기업용 블록체인 플랫폼이 꼭! 필요한 이유는?

Event

  • LG CNS 기술블로그 DX Lounge에서 최신 IT 소식을 만나보세요!

    2023.03.07

    블록체인
    새 먹거리 ‘토큰증권’ 똑똑하게 대응하려면?

  • LG CNS 기술블로그 DX Lounge에서 최신 IT 소식을 만나보세요!

    2023.02.24

    블록체인
    웹 3.0 시대, 성공하기 위한 3가지 방법

  • NEW JOURNEY FOR WEB3

    2022.11.10(Thu) 14:00-15:30 PM

    최근 Web3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부각되면서 Web3로의 변화는 이미 시작되었습니다.
    기업들이 추구하는 Web3 기술과 비즈니스 지향점은 다양합니다.
    Web3 생태계의 리더 LG CNS가 제안하는 Web3로 가는 가장 빠른 방법을 LG CNS 블록체인 웨비나 다시보기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References

LG CNS의 Monachain을 이용하는
고객들을 살펴보세요

  • 지역화폐 시스템 구축

    블록체인 기반의 지역화폐 시스템 구축

  • 지역화폐 시스템 구축

    블록체인 기반의 지역화폐 시스템 구축

  • 배터리 라이프 사이클 시스템 구축

    블록체인 기반의 배터리 라이프 사이클 관리 시스템 구축

  • 분실 파손 보험 청구 자동화 구축

    블록체인 기반의 분실 파손보험 청구 자동화 시스템 구축

  • 신한은행 CBDC POC 구축

    블록체인 기반의 CBDC 시스템 POC

  • 모바일 공무원증 구축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공무원증 구축

  • 우리은행 블록체인 도입 및 CBDC 시스템 구축

    블록체인 플랫폼 도입 및 CBDC 시스템 구축

  • 모바일 운전면허증 시스템 구축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운전면허증 시스템 구축

News

News

2021. 07. 01

CloudXper ProOps Launching Webinar

복잡성 높을 수록 모니터링 중요성도 커져

APM의 등장 배경을 보면 예나 지금이나 도전 과제가 비슷하다. 쓰리 티어(3 Tier) 구조의 웹 기반 컴퓨팅이 자리를 잡았을 때를 떠올려 보자. 눈에 보이던 것들이 보이지 않게 되면서 복잡성이 커졌다. 계층화된 컴퓨팅 환경에서 일관성 있게 성능을 보장하려면 가시성을 확보해야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APM이었다.
지금은 어떠한가? 모놀리식 구조의 스택이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환경으로 바뀌면서 기능은 더 작은 단위로 쪼개졌고, 인프라와 플랫폼의 추상화 수준은 더욱 높아졌다. 마이크로서비스 환경 구축 시 현장에서 복잡성과 가시성 문제를 호소하는 이유다. 이 문제 역시 해결책은 APM에서 찾을 수 있다.

동적 환경 모니터링까지 소화하는 APM


LG CNS의 APM 솔루션인 TunA와 같은 현대화된 APM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환경에 대한 모니터링까지 기술적, 기능적으로 고려한다. 컨테이너 플랫폼에 배포, 운영하는 애플리케이션은 동적인 이동하기도 한다. 쉽게 말해 애플리케이션의 유동성이 크다. 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한 덩어리로 구성된 모놀리식 아키텍처와 달리 구성 요소가 매우 작은 단위로 세분화되어 있다. 그리고 단위 기능이나 서비스를 담은 컨테이너는 여러 위치에 분산되어 있다. LG CNS의 APM 솔루션인 TunA와 같은 현대화된 APM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환경에 대한 모니터링까지 기술적, 기능적으로 고려한다. 컨테이너 플랫폼에 배포, 운영하는 애플리케이션은 동적인 이동하기도 한다. 쉽게 말해 애플리케이션의 유동성이 크다. 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한 덩어리로 구성된 모놀리식 아키텍처와 달리 구성 요소가 매우 작은 단위로 세분화되어 있다. 지금은 어떠한가? 모놀리식 구조의 스택이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환경으로 바뀌면서 기능은 더 작은 단위로 쪼개졌고, 인프라와 플랫폼의 추상화 수준은 더욱 높아졌다. 마이크로서비스 환경 구축 시 현장에서 복잡성과 가시성 문제를 호소하는 이유다. 이 문제 역시 해결책은 APM에서 찾을 수 있다.

LENA 1.3.1 fix#4

2021. 07. 01

변경항목

다음 항목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 Web Server
  • Web Application Server
  • Session Server
  • Node Agent
  • Management
  • Container

상세내용

[Web Server]

  • (LENA-7219) CVE-2022-22719 초기화하지 않은 변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취약점 해결
  • (LENA-7219) CVE-2022-22720 HTTP request 요청 과정 중 발생하는 취약점 해결
  • (LENA-7219) CVE-2022-22721 버퍼오버플로우 취약점 해결
  • (LENA-7219) CVE-2022-23943 Out-of-Bounds 읽기/쓰기 취약점 해결
  • (LENA-7075) ubuntu 20.x 버전 지원
  • (LENA-7182) oracle linux 8.x 버전 지원
  • (LENA-6623) timezone에 따른 logrotate 적용
  • (LENA-6687) mod_proxy DNS Lookup 처리 개선